티스토리 뷰

목차


     

    퇴직연금수익률 왜 낮을까? 썸네일

     

    퇴직연금 수익률, 왜 이렇게 낮을까요? 💸
    매달 꼬박꼬박 쌓이는데 막상 수익률은 1~2%대에서 멈추는 경우가 많죠. 오늘은 수익률이 낮은 구조적 이유와, IRP(개인형퇴직연금)로 전환했을 때 실제로 무엇이 달라지는지 간단하고 실전적으로 정리해볼게요.

    핵심 요약부터 말하면, “제도보다 운용 태도”입니다. 예금형 위주에서 벗어나 분산·리밸런싱을 적용하고, 계좌를 내가 직접 관리하면 수익률의 체감이 확 달라집니다.

     

    📉 왜 퇴직연금 수익률이 낮을까?

    1) 예금형/채권형 중심 운용 구조예요. 안정성은 높지만 장기 수익률이 낮게 형성될 수밖에 없죠.
    2) 방치된 계좌가 많습니다. 시장이 바뀌어도 비중 조정(리밸런싱)을 안 하면 결과가 정체돼요.
    3) 수수료도 무시 못 합니다. 연 보수 0.1~0.3%p 차이가 장기 복리에서 점점 커집니다.

    특히 DB형은 회사가 위험을 부담하는 구조라 초저위험 위주로 굴러가고, DC형도 “원금 보장 선호”로 예금형 비중이 쉽게 높아져요. 이러면 당연히 수익률은 예금권 근처에서 맴돌게 됩니다.

     

    💡 IRP로 바꾸면 달라지는 점

    IRP는 내가 직접 운용하는 퇴직연금 계좌입니다. 예금형만 고르는 게 아니라 ETF·채권·리츠·펀드 등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해요. 게다가 세액공제(연 700만원 한도)라는 보너스도 있습니다.

    • 선택 폭: 예금형 + 채권형 + 지수형 ETF(예: 국내/해외 지수) 등 조합 가능
    • 분산 전략: 예) 안정형 50%(예금/채권), 성장형 50%(지수 ETF)로 시작 → 분기마다 비중 재조정
    • 세제: 납입액에 대한 세액공제 + 과세이연 효과

    포인트는 ‘고위험 올인’이 아니라, 목표 비중을 정해 놓고 시장에 따라 살짝 조정하는 겁니다. 이 습관만으로도 체감 수익률이 달라집니다.

     

    📊 수익률을 높이는 간단 체크리스트

    ① 운용상품 비중 — 예금형 비중이 80%↑면 채권형·지수 ETF 일부 편입 고려

    ② 수수료 점검통합연금포털 등으로 운용사·상품 보수 비교(0.1%p도 장기엔 큼)

    ③ 리밸런싱 주기 — 분기/반기 단위로 목표 비중에서 5~10%p 이상 벗어나면 재조정

    ④ 자동이체 vs 직접운용 — 자동이체에만 맡기기보다, 분기점검+소폭조정이 성과 차이를 만듦

     

    🧭 첫 세팅 가이드(샘플)

    • 목표 비중: 예금/채권 50% : 지수 ETF 50% (변동성 민감하면 60:40)
    • 리밸런싱: 3개월마다 점검, 5~10%p 이상 틀어지면 원래 비중으로 복귀
    • 점검 루틴: 월 1회 수익률/보수 확인 → 분기마다 조정

    IRP 전환은 ‘상품 갈아타기’가 아니라, 운용 주도권을 되찾는 과정입니다. 작은 습관이 장기 복리에 큰 차이를 만들어요.

    ✨ 한 줄 결론

    퇴직연금은 맡겨두는 돈이 아니라 내가 운용하는 자산입니다. IRP 전환 + 분산 + 정기 리밸런싱이면, 1~2%대 정체에서 벗어날 수 있어요. 🌿


    © 2025 새로운시작 | 재테크·퇴직연금 정보 무단복제 금지 · 본 글은 개인 의견이며 투자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.